ㆍ학술지 > 논문검색
논문검색
광고PR실학연구_10-1호_9백혜진.pdf   작성자 : 편집위     2017-03-09 15:13
(10권 1호) 논문9. Exploring Cues to Action in Health Belief Model

The Health Belief Model (HBM) has played a key role in describing, explaining, and
predicting health-related outcomes. As one of the major health behavior theories,
HBM has been well applied in numerous health-related studies. However, these
studies often ignore the original conception of HBM as a theoretical model because
they focus mainly on the predictive roles of risk perception variables – i.e.,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 and barrier. Within that process, cues to action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studied. The current study addresses these limitations in HBM
research in two ways: (1) following the original conception of HBM and the
recommendation by previous researchers, we did not use risk perception constructs as
separate predictors but rather used perceived threat (perceived severity×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evaluation of action (perceived benefit-barrier); (2) we
explored both internal and external cues in predicting health-related outcome and
separated out interpersonal and media cues from external cues. Path analysis of 992
representative Korean adult samples in the context of tuberculosis (TB) revealed three
major findings: (1) Interpersonal and (2) media cues are related to TB screening
inten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erceived threat; (3) perceived threat, but not
perceived evaluation of action,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B screening inten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ur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perceived threat, internal cue, external cue, perceived evaluation of action,
health belief model, tubercul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health campaign

 

건강신념모형(HBM: Health Belief Model)은 건강과 관련된 행동 결과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에 있
어 자주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모형을 검증하기보다는 모형에서 소개된 위험 지각 변수들이
행동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는 행위 단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다. 첫
째, 건강신념모형에서 제시하는 개념적 논의와 선행 연구자들이 권고했던 사항을 따라 그동안 다수의 연
구에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개연성이라는 변수가 별개로 사용되었던 것을‘위험 인식(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개연성)’이라는 단일 개념으로 구성하고, 지각된 이득과 장애로 각각 사용되었던 것을 ‘지각된
행동 평가(지각된 이득ᐨ장애)’로 정의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건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단서와 외적 단서를 모두 탐색함은 물론, 외적 단서를 대인 커뮤니케이션 단서와 미디어 단서로 구
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992명의 성인 응답자를 대상으로 결핵예방행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인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단서는 결핵 검진 의도와 직접적
으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위협을 통한 간접 경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행동 평가는 결핵 검진 의도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위
협 변인은 검진의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지각된 위협, 내적 단서, 대인 커뮤니케이션 단서, 미디어 단서, 지각된 행동 평가, 건강신념모델,
결핵, 건강 예방 행동, 건강캠페인 


ㆍ게시물 : 430 전체 : 43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230 (10권 3호) 논문12. TV 광고 배경음악 유형별 특성과 적합성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21
229 (10권 3호) 논문11. 소비경험의 만족 / 불만족이 내러티브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22
228 (10권 3호) 논문10. 소비자의 광고매체 수용에 대한 탐색연구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34
227 (10권 3호) 논문9.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은 행동을 설명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가 ?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24
226 (10권 3호) 논문8. 흡연자와 비흡연자 남녀 대학생 비교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16
225 (10권 3호) 논문7. 한국과 미국의 야립광고 크리에이티브 측면에 대한 비교 연구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17
224 (10권 3호) 논문6. 아트 유형과 브랜드콘셉트 유형이 아트 인퓨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14
223 (10권 3호) 논문5. PR 토대개념의 전환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31
222 (10권 3호) 논문4. 푸티지 기법을 활용한 TV 광고의 효과에 대한 연구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13
221 (10권 3호) 논문3.사드 (THAAD) 배치 관련 중국 소비자의 롯데 브랜드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21
220 (10권 3호) 논문2.원자력발전소와 지역주민 간 조직ᐨ공중 관계성에 대한 상호지향성 분석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12
219 (10권 3호) 논문1. 과장광고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역사적 연구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9.01 16
218 (10권 2호) 서평: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18
217 (10권 2호) 서평: 예능력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12
216 (10권 2호) 우수 광고 PR 사례: 서울 로고 리브랜딩(Seoul Rebranding)-Discover Seoul, 서울을 발견하세요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30
215 (10권 2호) 논문8. In-House Advertising Agency-Korean Way of Doing Business?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29
214 (10권 2호) 논문7. 미디어 수용자의 매체 소비 예측에 따른 정부광고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40
213 (10권 2호) 논문6. 미국 국가지도자의 일본 히로시마 방문외교가 한국인에게 미치는 영향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23
212 (10권 2호) 논문5.대중음악 소비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연예기획사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34
211 (10권 2호) 논문4. 온라인 하드 래더링을 통한 정치인 문재인 지지자의 가치 및 가치 구조 첨부파일 1개 편집위 2017.06.08 31
11121314151617181920
ㆍ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