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미국은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두 도시에 원자폭탄을 투하했다. 이에 따른 일본의 항복으로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을 종식시켰지만 수많은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2016년 6월 미국의 국가지도자인 오바마 대통령은 원자폭탄 투하지역인 히로시마를 방 문하여 세계평화선언을 했다. 6개월 후, 2016년 12월 27일에는 일본의 국가지도자 아베 신조 총리가 2차 세계대전 촉발 지역인 하와이 진주만을 방문해 화해의 메시지를 전달했 다. 한국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6년간 일본군부의 통치를 받았던 전쟁피해국이었고, 미국의 히로시마 원자폭탄 투하로 해방을 맞이했다. 본 연구는 미국 국가지도자의 히로시 마 방문을 통한 국제적 외교활동이 한국인에게 미치는 반응을 국가평판, 국가지도자 공신 력, 사과인정 여부 등의 종속변수로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미국 대통령의 히로시마 방문외교활동이 미국에 대한 평판(reputation)에 미치는 효과는 방문 사전과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국가지도자 공신력(credibility)은 방문 사 후가 사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대통령이 원자폭탄 투하지역인 일본 히로시마를 방문한 외교활동이 일본에 대한 사과로서의 인정 여부에 대해, 조사응답자들은 미국이 일본에게 사과한 것으로는 생각지 않고 있었다. 그 이외에 국가지도자의 해외순방 외교효과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주제어: 국가지도자의 해외순방외교, 국가평판, 국가지도자 공신력 In 1945, the United States had dropped atomic bombs on two Japanese cities. In accordance with the surrender of Japan, the United States had caused numerous casualties at the end of World War II. In May of 2016 national leader of the US President Barack Obama visited Hiroshima a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sponse of Korean people for President Obama to visit Hiroshima. In addition, the messages of US president’s speech were compared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appeals and rational appeal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of President visiting on the national reputation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visiting and post one. But national leader credibility decreas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an prior. Obama’s visiting the Hiroshima was not considered as an apology for Japan. The difference between a dependent variable of the respondents’ gender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National reputation based on the types of leader’s appeal and types of respondents’ gender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addition to that it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s of foreign diplomatic tour of national leaders. Keyword: national leader’s foreign diplomatic tour, national reputation, credibility of national leader |